글 수 14
 
(0.0/0)
조회 수 : 4091
2014.05.04 (09:17:52)

 

<붙임 1>

 

방송통신표준   

KCS.KO-05.0046                                제정일 : 2011 XX XX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Hangeul) on telephones)

 

 

 

 

 

 

 

 

 

 

 

 

 

방송통신위원회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은 4x3 숫자배열 키패드를 갖는 전화기에서 한글의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주요 내용 요약

 

주요 내용으로 4X3형태(12버튼)로 키패드가 배열되는 전화기의 한글 입력 방식 및 한글 문자 자판 배열을 기술한다.

 

3. 표준 적용 산업 분야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

 

본 표준은 전화기의 한글 입력 방식을 제시하여 소비자가 자판의 입력 방식에 관계없이 휴대 전화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표준으로 인해 소비자의 선택권이 확대되고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후발 제조업체가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며 문자 입력을 기반으로 하는 종래 서비스 분야가 확대 되는 등 신규 서비스 개발에도 기여할 것이다.

 

4. 참조 표준(권고)

 

다음의 참조표준은 이 표준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발행 연도가 표기된 참조 표준은 인용된 판만을 적용한다. 발행 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참조표준은 최신판(모든 추록을 포함)을 적용한다.

 

4.1 국외 표준(권고)

 

-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4.2 국내 표준

- KS X 5001: 2001 개인용 컴퓨터(1)

- KS X 5002: 2001 정보 처리용 건반 배열

- KS X 5003: 2001 개인용 컴퓨터 키보드

- KS X ISO/IEC 10646: 2005 정보기술 - 국제문자부호계(UCS) - 구조 및 다국어 기본 평면, 보충 평면

- KS X ISO/IEC 15412: 2007 정보기술 - 휴대용 컴퓨터 키보드 배열

- KS X ISO/IEC 14755: 2007 정보기술 - 키보드 또는 다른 입력 장치를 이용한 KS X ISO/IEC 10646의 목록에 있는 문자 입력 방법

 

5. 참조 표준(권고)과의 비교

 

5.1 참조 표준(권고)과의 관련성

 

- 해당 사항 없음.

 

5.2 참조한 표준(권고)과 본 표준의 비교표

 

- 해당 사항 없음.

 

6. 지적 재산권 관련 사항

 

- 본 표준의 '지적재산권 확약서' 제출 현황은 TTA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적합 인증 관련 사항

 

7.1 적합 인증 대상 여부

 

- 해당 사항 없음.

 

7.2 시험 표준 제정 여부(해당 시험 표준 번호)

 

- 해당 사항 없음.

 

 

8. 표준의 이력

 

판 수

개정일

개정 내역

1

2011.XX.XX

제정

 

 

Preface

 

 

1. The Purpose of Standard

 

This standard  defined for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Hangeul) on telephones with 4x3 keypad(key, touch pad, multi touch).

 

 

2.  The Summary of Contents

 

This Standard described Hangul Keypad layout  and input methods on array of Korean character(Hangul) on telephones.

 

 

3. The Applicable Fields of Industry and its Effect

 

Since this standard defines Hangul input methods on telephones, it could contribute to grow service sector based on letter input and expect to expanded choices, convenience and cost reduction.

 

 

4. The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The following Reference Standards are essential for application of the standard. The Reference Standards with the issued date apply quoted edition only. If the issued date is not displayed on The Reference Standards, it should apply the latest edition(including all supplements).

 

4.1 International Standards(Recommendations)

 

- ITU-T E.161: Arrangement of digits, letters and symbols on telephones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gaining access to a telephone network

 

4.2 Domestic Standards

 

- KS X 5001: 2001 PERSONAL COMPUTER(1)

- KS X 5002: 2001 Keyboard layout for information processing

- KS X 5003: 2001 KEYBOARD FOR PERSONAL COMPUTER

- KS X ISO/IEC 10646: 2005 Information technology - Universal Multiple-Octet Coded Character Set(UCS) - Architecture and Basic Multilingual Plane, Supplementary Planes

- KS X ISO/IEC 15412: 2007 Information technology - Portable computer keyboard layouts

- KS X ISO/IEC 14755: 2007 Information technology - Input methods to enter characters from the repertoire of ISO/IEC 10646 with a keyboard or other input device

 

 

5. The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The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 None.

 

5.2 Differences between Reference Standard(recommendation) and this standard

 

- None.

 

 

6. The Stat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s related to the present document may have been declared to TTA. The information pertaining to these IPRs, if any, is available on the TTA Website.

 

 

7. The Statement of Conformance Testing and Certification

 

7.1 The Object of Conformance Testing and Certification

 

- None.

 

7.2 The Standards of Conformance Testing and Certification

 

- None

 

 

8. The History of Standard

 

Edition

Issued date

Contents

The 1st edition

2011.XX.XX.

Established

 

 

  

 

 

1. 개 요          1

 

2. 적용 범위    1

 

3. 용어 정의    2

 

4.  전화기의 한글 문자 자판 배열      2

   4.1 일반 사항         2

   4.2 1 방식         3

       4.2.1 한글 자판 배열의 주요 예시       3

       4.2.2 한글 입력 방식 및 자판 배열      3

   4.3 2 방식         6

       4.3.1 한글 자판 배열의 주요 예시       6

       4.3.2 한글 입력 방식 및 자판 배열      6

   4.4 3 방식         8

       4.4.1 한글 자판 배열의 주요 예시       8

       4.4.2 한글 입력 방식 및 자판 배열      9

 

 

 

Contents

 

 

1. Introduction  1

 

2. Application scope     1

 

3. Terms and Definitions           2

 

4.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Hangul) on telephones       2

   4.1 General facts     2

   4.2 First method      3

       4.2.1 Example for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Hangul)       3

       4.2.2 Input method and keypad layout    3

   4.3 Second method  6

       4.3.1 Example for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Hangul)       6

       4.3.2 Input method and keypad layout    6

   4.4 Third method      8

       4.4.1 Example for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Hangul)       8

       4.4.2 Input method and keypad layout    9

 

 

전화기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 (Hangeul) on telephones

 

1. 개요

 

한글 자모 입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하기 위해서 4X3 숫자 배열 형태의 전화기용 한글 문자 자판 배열 체계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용어 정의

 

본 표준에서는 다음의 용어와 정의를 적용한다.

 

2.1.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

 

전화기의 사용을 위해 번호 및 문자, 명령어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여러 버튼이 배열되어 있는 숫자와 기능키 묶음.

 

2.2. 전화기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이나 음성통신이 가능한 기기 중, 4X3 숫자배열 형태을 갖으며 한글 문자입력이 가능한 기기

 

3. 적용 범위

 

본 표준은 4X3 숫자배열 형태의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갖는 전화기에 적용된다. 표준이 적용되는 전화기의 문자입력 자판은 키패드에 한글 문자를 실장 인쇄하는 형태와 자판배열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형태를 포함한다.

 

4. 전화기의 한글 문자 자판 배열

 

4.1. 일반 사항

 

- 본 절은 전화기의 한글 문자 자판 배열 및 문자입력 절차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4.2, 4.3, 4,4절과 같이 세 가지 방식의 한글 문자 자판 배열을 권고한다.

- 전화기 중 키패드에 한글 문자를 실장 인쇄하는 경우에는 제1방식의 사용을 권고한다.

- 한글 문자 자판 배열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전화기의 경우에는 제1방식, 2방식, 3방식 모두 구현하는 것을 권고한다.

 

4.2. 1 방식

 

4.2.1. 한글 자판 배열의 주요 예시

 

(그림 4-1)은 제1 방식을 자판에 배열한 예시이다.

 


 

1 

2  

3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0  ㅇㅁ

#

(그림 4-1) 1 방식 한글 문자 자판 배열

 

4.2.2. 한글 입력 방식 및 자판 배열

 

전화기의 키패드는 열 개의 숫자 키(1,2,3,4,5,6,7,8,9,0)와 두 개의 제어 키 ‘*(애스터리스크), #(샤프)를 조합한 열두 개의 키 배열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열 개의 숫자 키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며, 두 개의 제어 키로 특정 기능을 지정, 호출한다.

한글 자모 입력은 모음 자획의 삼재(, · , )를 세 키에 배열하여 필기순의 키 입력에 따라 단모음 (,,,,,,,,,)열과 이중 모음(,,,,,,,,,,)을 합한 21자의 모음 코드를 산출할 수 있게 하고, 단자음(,,,,,,,,,,,,,)을 한 키에 두 자음씩 일곱 개의 키에 배열한다. 자음 키를 한 번 눌러 단자음 일곱을, 두 번 눌러 두 번째 단자음 일곱을, 세 번 눌러 쌍자음 다섯 코드를 산출한다.

 

본 표준의 한글 문자 자판은 자음을 같은 키를 반복하여 누르거나 제어 키와 함께 눌러 산출할 수 있도록 그 배열을 구성한다. 그리고 자음과 모음의 조합 규칙을 적용하여 계속 입력되는 입력 키 코드를 자음 또는 모음 단위로 구별하여 인식한다. 다만, 한 키 상의 자음 중 첫 번째 자음이 받침이 되고, 두 번째 자음이 다음 글자의 첫 자음이 되는 경우, 글자 사이에 구분 기호를 입력하여 이를 구별한다.

 

상기의 키 배열에서 첫 번째 자음은 ㄱ,,,,,,ㅍ이 되고, 두 번째 자음은 ㄴ,,,,,,ㅎ이 되게 되는데, ‘감마’의 키 입력은 412000012로서 ‘가마’의 키 입력 4120012과 같으므로 두 글자를 구분하기 위해 41200 0012에 구분 기호를 입력한다.

 

모음의 자획 ㅣ, · , ㅡ을 다이얼 버튼 1,2,3,4,5,6,7,8,9,0   세 키패드에 하나씩 배열하여 각각의 고유 코드를 부여하며, 필기순으로 키를 입력하여 단모음 및 이중 모음 코드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들 키를 한 번 이상 눌러 모음 코드 및 이중 모음 코드를 조합한다. 같은 자음 키를 한 번 혹은 두 번 누르거나 자음 키와 제어 키를 조합하여 첫 번째 배열 자음 코드, 두 번째 배열 자음 코드, 복자음 코드 및 숫자 키를 산출하게 하며, 자음 키 및 모음 키와 제어 키의 조합으로 필요한 문자 코드를 조합한다.

모음 키 입력에 대한 순서는 다음과 같다.

 

          < 4-1>단모음 10 (,,,,,,,,,)

+

+

++

+

++

+

++

++

 

          < 4-2> 이중모음 11 (,,,,,,,,,,)

++

+++

++

+++

++

++++

++

++++

+++

+

+++

 

 

1 방식의 초성, 중성, 종성 키 번호는 < 4-3>과 같다.

 

        < 4-3> 초성, 중성, 종성 키 번호 조합

초성

키 번호

중성

키 번호

종성

키 번호

4

1 +2

5 +5

0

1

0

5 +5

2 +1

5

9

3 +2

4

6

2 +3

0

8

3

8

7

1 +2 +1

7

0

2 +2 +1

6 +6

8 +8

2 +1 +1

9

5

3 +2 +1

6

9 +9

1 +2 +2

7 +7

4 +4 +4

2 +3 +1

9 +9

6 +6 +6

2 +3 +1 +2

5 +5 +4

6 +6

2 +2 +3

8 +8

9 +9 +9

3 +2 +2 +1

7 +8

8 +8 +8

3 +1

4 +4 +4

7 +7 +7

2 +3 +1 +2 +1

5 +5 +7

7 +7

2 +2 +1 +1

5 +8 +8

4 +4

3 +2 +2

5 +9

 

 

3 +2 +2 +1 +1

5 +8 +8

 

 

1 +2 +2 +1

8 +8 +8

 

 

 

 

5 +0 +0

 

 

 

 

4 +8

 

 

 

 

4 +4

 

 

 

 

5 +6 +6

 

 

 

 

5 +8

 

 

 

 

5 +7 +7

 

자음의 코드 편집은 키패드 내에서 자음이 할당된 일곱 개의 키 중 각각의 편집 모드가 진행되며 다른 키패드에 할당된 자음 코드가 입력되거나 모음 자획 키가 입력되면 코드 편집을 끝내고 문자 코드는 키 버퍼에 저장되어 출력된다.

 

키 버퍼는 여러 코드를 임시 저장할 수 있으며, 주 처리 장치에서는 입력순으로 참조하고 주 처리 장치에서는 하나 혹은 여러 개의 코드를 조합하여 복자음 또는 이중 모음 한글 코드를 산출한다.

4.3. 2 방식

 

4.3.1. 한글 자판 배열의 주요 예시

 

(그림 4-2)는 제 2 방식을 자판에 배열한 예시이다.

 

1  ㄱㅋㄲ

2 ㄴㄷㅌㄸ

3 ㅏ ㅓ

4  

5 ㅁㅂㅍㅃ

6 ㅗ ㅜ

7 ㅅㅈㅊ

ㅆㅉ

8  ㅇㅎ

9 

(획 추가)

0  

#

(쌍자음)

(그림 4-2) 2 방식 한글 문자 자판 배열

 

4.3.2. 한글 입력 방식 및 자판 배열

 

전화기의 키패드 버튼은 열 개의 숫자 키(1,2,3,4,5,6,7,8,9,0)와 두 개의 기능 키 ‘*(애스터리스크),#(샤프)를 조합한 열두 개의 키패드 배열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6개의 기본 자음군 중 특정 자음을 산출하고 두 개의 기능 키 ‘*’ 혹은 ‘#’을 사용하여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보충하기 위한 획 추가와 복자음을 산출하기 위한 쌍자음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기본 모음군(,,,,,)에서 산출된 특정 모음에 대해 ‘*’ 키를 사용하여 획을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열두 개의 키를 선택하면 각각의 키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데, 한글 자음 생성 과정에서는 기본 자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자음을 산출하거나, 기본 자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획 추가 코드 및 쌍자음 코드를 조합하여 6개의 기본 자음군 이외에 나머지 자음군 중 하나의 자음을 산출한다. 한글 모음 생성 과정에서도 기본 모음 코드만 입력받아 해당 모음을 산출하거나 기본 모음 코드와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획 추가 생성 코드 혹은 기본 모음 코드를 조합하여 기본 모음군 이외에 나머지 모음에 대해서도 산출할 수 있어야 한다. 최종적으로 한글 음절 입력 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원리에 따라 한글 음절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4×3 형태인 12개의 키에 6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기본 자음군과, (), (), () 삼재 중에서 지()와 인()을 상징하는 2개의 모음, 그리고 천()과 지()를 조합한 2개의 모음(,) 및 천()과 인()을 조합한 2개의 모음(,)으로 기본 모음군을 구성한다. 여기에 기본 자음군에 획을 하나 더하기 위한 획 추가 기능 키와 복자음을 산출하기 위한 쌍자음 기능 키, 기본 모음군에 천()을 결합하기 위한 획 추가 기능 키를 배열한다. 획 추가 기능 키와 쌍자음 기능 키는 ‘*’과 ‘#’ 키패드를 적절하게 배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자음 ㄹ을 제외한 기본 자음(,,,,)에 획 추가 기능 키 조작에 의해 ㅋ, , , , ㅎ 이 산출되고, 이렇게 산출된 자음 중 ㄷ, , ㅈ에서 추가적인 획 추가 기능 키 조작에 의해 ㅌ,,ㅊ 이 산출된다. 또 ㄷ,,ㅈ에서 쌍자음 기능 키 조작에 의해 ㄸ, , ㅉ 이 산출되고, 기본 자음 ㄱ, ㅅ도 쌍자음 기능 키 조작에 의해 ㄲ, ㅆ이 산출되어야 한다.

2 방식의 초성, 중성, 종성 키 번호는 < 4-4>와 같다.

 

< 4-4> 초성, 중성, 종성 키 번호 조합

초성

키 번호

중성

키 번호

종성

키 번호

1

3

4

8

9

8

4

3 +3

2

7 +*

6 +6

1

2 +*

6

5

7

0

7

5 +*

3 +9

5 +*

5

3 +3 +*

2 +* +*

8 +*

3 +9

7 +*

2

6 +6 +9

2 +*

7 +* +*

3*

5 +* +*

1 +#

6 +9

7 +* +*

2 +* +#

6 +3

4 +1

2 +* +*

6*

8 +*

7 +* +#

6 +6 +3 +3

5 +* +7

7 +#

9

1 +#

5 +* +#

6 +3 +9

4 +5 +*

5 +* +*

3 +3 +* +9

2 +8 +*

1 +*

6 +6 +*

2 +7 +*

 

 

6 +6 +3 +3 +9

4 +8 +*

 

 

3 +* +9

7 +#

 

 

 

 

4 +5

 

 

 

 

1 +7

 

 

 

 

1 +*

 

 

 

 

4 +2 +* +*

 

 

 

 

4 +7

 

 

 

 

4 +5 +* +*

 

4.4 3 방식

 

4.4.1 한글 자판 배열의 주요 예시

 

(그림 4-3)은 제 3 방식을 자판에 배열한 예시이다.

 

1 ㄱ ㅋ

2   ㅣ ㅡ

3     

4 ㄷ ㅌ 

5      

6    

   

    

9      

   

 

#    ㅜ ㅠ

(그림 4-3) 3 방식 한글 문자 자판 배열

 

4.4.2 한글 입력 방식 및 자판 배열

 

전화기의 키패드는 열 개의 숫자 키 (1,2,3,4,5,6,7,8,9,0) 및 두 개의 제어 키 ‘*(애스터리스크), #(샤프)를 조합한 열두 개의 키 배열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4x3으로 배열되는 12개의 키 중,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7개의 숫자 키와 ‘*(애스터리스크) 키에 각각 제1 자음(, , , , , , )과 제2 자음(, , , , , , )을 배치하고,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5개의 숫자 키와 ‘#(샤프) 키에 각각 제1 모음(, , , , )과 제2 모음(, , , , )을 배치한다. 자모의 자판 배열은 키패드에서 우측에 배열된 모음과 좌측에 배열된 자음으로 구성 된다.

 

상기 제1 자음(, , , , , , )은 해당 키 버튼을 1회 눌러서 입력하게 되고, 2 자음(, , , , , , )은 해당 키 버튼을 연속 2회 눌러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복자음(, , , , )의 입력은 제1 자음 중 ㄱ, , , , ㅈ 이 배치된 해당 키 버튼을 연속으로 3회 눌러 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모음(, , , , )은 해당 키 버튼을 1회 눌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2 모음(, , , , )은 해당 키 버튼을 연속 2회 눌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1 모음과 제2 모음을 제외한 기타 모음(, , , , , , , , , , )은 모음이 배치된 키 버튼을 조합하여 산출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방식의 초성, 중성, 종성 키 번호는 < 4-5>와 같다.

 

< 4-5> 초성, 중성, 종성 키 번호 조합  

초성

키 번호

중성

키 번호

종성

키 번호

1

3

5+5

0

2

0

5+5

6

5

*

#

1

4

9

7

7+7

2+2

7+7

8

3+2

8

7

6+6

4+4

0+0

6+2

*

5

#+2

4

* +*

3+3

8+8

1+1+1

9+2

* +*

4+4+4

9+3

5+5+1

4+4

9+9

0+0

* +* +*

#+6

8+7+7

7+7+7

2+2+2

1+1+1

8+8+8

9+3+2

5+5+8

8+8

6+6+2

5+0+0

1+1

#+#

5+*

 

 

#+6+2

5+5+0+0

 

 

3+3+2

7+7+7

 

 

 

 

5+5+7

 

 

 

 

1+7+7

 

 

 

 

1+1

 

 

 

 

5+5+4+4

 

 

 

 

5+5+7+7

 

 

 

 

5+5+8+8

 

 

 

 

 

 

 

 

 

 

 

 

 

 

 

 

 

 

 

 

 

 

방송통신표준

 

전화기의 한글 문자 자판 배열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 (Hangeul) on Telephones)

 

 

발행처 : 방송통신위원회

발행일 : 2011.XX